-----BEGIN PUBLIC KEY----- MIIBojANBgkqhkiG9w0BAQEFAAOCAY8AMIIBigKCAYEA0gQNnx+WktFFECYRVrL+ GhHPlTGZrfOBUSWdFyGSYSYBEVDkVnSk3WzgUSRxhA/c5OYZZlS5GbqDR7sxnUrd b6Lacn60cINmahzPLzD0/TnQjQ08pFDtj3oRQ0+umROY49SoDxA9Pt7R/Wq6nG6i BcqXftJwldDzBe/1jiG6cGiy/+TT4rSxBc0zEQ/VDKUfNzSafeBBrAbydM8+0ZAd P/nxY43MMWwX5WWuYQc0sTKuuF7r9VQrpYuUSXUP+oLr/AExMRyQo/sSnfKfRzdX WaxT7kF1VfVCSW39Z78YuDaLML4OeRns48edG2t5G9xAYq5q8fvRmtAnnOl6xh1K MrXXuqofe4WmvJT+gi+TzlMssxeUvZB90rQG7/9eEinm6Z6E/271f7OX4g4SGkIh tV8+6Utc2KGx61tzOUoz0T55t8yCiC/SDLfUtHAT29umlyL7dhp5KB+EA/D92/5C nmj4bBiYx/cNnhcqVP5NdrvyV16Sezw4ITaASvVLBjXdAgMBAAE= -----END PUBLIC KEY-----
매 순간이 위급한 응급상황, 최선의 진료를 약속 드립니다.
응급실 내원 환자는 응급실로 직행하여 우선 진료를 받으며 보호자는 원무접수를 하여 예진 과정이 이루어 집니다.
예진 과정에서 환자의 과거 병력 및 현 증상, 소견 등을 참고하여 응급의학과 전문 진료 받게 됩니다.
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응급처치를 실시하면서, 필요한 경우 진찰 및 검사, 처치 등이 동시에 이루어집니다.
필요에 따라 다른 전문 과목의 진료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담당의사는 해당과의 전문의와 협진을 합니다.
응급 진료 후 필요에 따라 수술, 입원 또는 퇴원 여부를 결정합니다.
급성질환 | 외래에서 진료할 수 없는 심폐소생 | 쇼크 | 중독분야 |
손상으로 인한 신체의 이상 | 소생 후 증후군 | 독물학 | 중환자의학 |